티스토리 뷰
DOM : 문서 객체 모델 XML이나 HTML의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. 표준화된 접근/조작 방법을 제공한다.
돔은 html 트리와 같은 구조화된 형태로 js가 실행되어질 수 있는 환경
1. Core DOM : 모든 문서 타입을 위한 DOM 모델
2. HTML DOM : HTML 문서를 위한 DOM 모델
3. XML DOM : XML 문서를 위한 DOM 모델
Vue, React를 사용하면 속도 개선을 위한 Virtual DOM 방식으로 DOM을 제어하게 된다.
Virtual DOM -> 변경된 부분만을 가상돔에서 가려내어 모든 DOM제어 이후 최종적으로 DOM에서 한 번만 렌더링을 수행하는 방법
원래 돔은 파싱,페이팅,렌더링 같은 작업을 업데이트가 20번 일어나면 해당 작업을 20번 반복해야해서 성능이 떨어진다.
가상돔을 사용하면 20번 중 변화된 부분만을 가상 돔에서 가려내어 실제 돔에 보낸다. 실제 돔은 한 번만 렌더링하여 성능면에 좋음
'TIL > Vu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LIDE로 이미지 Slider만들기 (0) | 2021.09.14 |
---|---|
Vue3 달라진 점 (0) | 2021.09.13 |
[Vue] CORS, SOP (0) | 2021.05.18 |
[Vue] 새로고침해도 데이터 남아있게 만들기 (0) | 2021.05.12 |
[Vue] Vuex(중앙제어) (0) | 2021.05.12 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SWEA
- 프로그래머스
- vue
- Python
- 배포
- git
- DOM
- Java
- 안드로이드스튜디오
- SSAFY
- 싸피
- javascript
- 알고리즘
- Pyhton
- django
- 트리
- AWS
- splide
- vue.js
- 독학
- commit되돌리기
- 세션 스토리지
- N과M
- 백준
- 파이썬
- SQL
- 위클리챌린지2주차
- SSAFY퇴소
- 자바
- 비동기패턴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