알고리즘/백준
[백준] 1002. 터렛
빙빙
2021. 4. 4. 16:48
그림을 그려보면 두 원이 만나는 점의 개수를 출력하면 된다.
무한대라는 말은 같은 원일 때를 의미하는 것이다.
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두 원이 만날 수 있는 경우를 찾아봤다.
그 결과 6가지가 나왔다.
dis를 두 원점 사이의 거리로 두었다.
1. 동심원일 때는 두 원이 완전히 같을 때와 한 원이 다른 원 안에 들어 갈 때를 생각해 줘야한다.
2. 두점에서 만날 때abs(r1-r2) < dis < r1+r2
3. 한 점에서 만날 때는 두가지 경우. 외접할 때 r1+r2 == dis, 내접할 때 abs(r1-r2) == dis
4. 두 원이 만나지 않을 때는 두가지 경우이다. 외부에 있을 때 r1+r2 < dis, 내부에 있을 때abs(r1-r2) > dis
문제를 풀때 if문이 두개가 걸리는 경우가 있어서 continue로 처리해 줬다.
T = int(input())
for tc in range(1, T+1):
x1, y1, r1, x2, y2, r2 = map(int, input().split())
dis = 0
dis = (abs(x1-x2)**2 + abs(y1-y2)**2)**0.5
# print(dis)
if x1 == x2 and y1 == y2:
if r1 != r2: #동심원
# print("check4")
print(0)
continue
elif r1 == r2: #동일할 때
# print("check5")
print(-1)
continue
if abs(r1-r2) < dis < r1+r2: #두점
# print("check1")
print(2)
continue
if r1+r2 == dis or abs(r1-r2) == dis: #외접, 내접
# print("check2")
print(1)
continue
if r1+r2 < dis or abs(r1-r2) > dis: # 외부에 있을 때, 내부에 있을 때
#print("check3")
print(0)
continue